[경제읽기] 부동산발 금융 불안 확산…PF 부실 우려 커져<br />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고금리와 건설 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부동산발 금융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. 5대 시중은행의 건설업종 대출 연체액이 작년 대비 2배로 불어났고 연체율도 큰 폭으로 늘어났는데 지표를 봤을 때 위험도, 어떻게 진단하십니까?<br /><br /> 한국은행 역시 부동산·건설 관련 부문에 집중된 대출 문제와 부실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는데 부동산 관련 대출의 부실화 원인은 무엇인가요? 왜 이렇게 상황이 악화된 건가요?<br /><br /> 은행권 내부에서도 최근 건설업종의 빠른 연체율 상승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한국은행은 연체율이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도 경고했는데 이유는 무엇인가요? 건설업종의 부실이 지금보다 심화될 경우 금융권에는 어떤 리스크가 될까요?<br /><br /> 부동산 PF 부문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 최근 정부가 부실 사업장 '옥석 가리기'를 통해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나서겠다고 했는데 어떻게 가려내야 할까요? 부동산 PF 연착륙 가능성은 어떻게 전망하세요?<br /><br /> 다른 이슈도 살펴봅니다. 전통적으로 '경제 허리'로 꼽혔던 40대가 올해 들어 청년층 다음으로 가장 크게 인구가 감소했습니다. '사라지는 40대' 현상은 예견된 결과라는 시각도 나오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40대 인구 감소는 고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, 취업자까지 덩달아 줄어들게 됐습니다. 11월에만 40대 취업자가 전년 대비 6만 2,000명 감소했는데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심각한 저출산 기조에 더해 경제활동인구의 고령화는 우리나라의 성장 활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윤 대통령은 오늘 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대해 그동안과 다른 차원의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